Oh Jhin Ryung
노래방에 가면 ‘부초’라는 노래가 있다. 언제 나온 노래인지 이름조차 모르는 나에게 누군가가 “<부초>의 작가가 부초를 불러야지!”해서야 알게된 노래다.
내가 알고 있는 곡예사의 노래로는 ‘곡예사의 첫사랑’이라는 곡이 있다. 77년에 출판된 소설 <부초>가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으면서, 어느 날 불려졌던 노래다. 영화로, TV 단막물로, 미니 시리즈로, 라디오 낭독으로, 소설이 휩쓸고 노래가 뜨고...그렇게 해서 곡예사는 갑자기 사람들 사이로 돌아왔던 것이다.
꿈이 아니었다. 곡예단, 그것은 피 흐르는 현실이었다. 누구에게나 나름대로의 삶의 방법이 있다. 모두는 그 선로 위를 살아간다.
그러면서도 곡예사 그들은 남들이 갖지 않은 것들을 너무 많이 가지고 있었다. 남들이 굳은살이 박힌 채 살아가는 작고 가벼운 일에도 그들은 여린 새순처럼 나부꼈다.
아픔, 눈물, 떠남, 만남, 다시 애절한 헤어짐과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며 웃음 짓는 보람. 그래도 거기에는 꿈이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떠나고 떠났다. 떠남은 돌아옴을 의미하고, 만남은 헤어짐을 의미했다. 곡예사들에게 있어 만남과 이별은 우리들의 인사말 “안녕”이었다. 우리는 말하지 않는가. 만나는 반가움 속에서도 ‘안녕’을, 헤어지면서도 또 ‘안녕’을.

누군들 어린 시절에 읍내 입구의 공터에 천막을 치고 나팔을 불어대던 써어커스의 유혹을 겪지 않은 사람이 있었을까.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우리 주변에서 하나 둘 써어커스는 사라져갔다.
얼마의 세월이 지나 대학을 졸업한 나이가 되었을 때였다. 우연히 동네 이발소 벽에 아주 유치한 인쇄의 광고가 나붙어 있는 것을 보았다. 그게 써어커스 공연 광고였다. 아직도 써어커스라는 게 있었나. 의아해 하면서도 나는 어른이 된 눈으로 바라보는 써어커스는 어떨 것인가 하는 호기심에 차서, 어슬렁거리며 집을 나섰던 고무신 차림 그대로 가을이면 김장시장이 열리곤 하던 동네 공터를 찾아갔다.
거기 있었다. 옛 모습 그대로였다. 명배우 김승호가 주연했던 왕년의 명화, <육체의 문>이라는 써어커스를 소재로 한 영화에서 그 모습을 본 것으로 이제 끝이려니 했던 바로 그 써어커스가 악사들이 불어대는 트럼펫 소리도 애절하게 아직 거기 그렇게 있었다.
그러나 그 우연한 발걸음이 내 삶의 한 부분을 뒤바꿔놓는 사건(!)이 될 줄을 나 또한 어떻게 알았으랴.
천막 안에서는, 어린 시절 내 추억 속의 모습과 별로 다를 것도 없는 공연이 시작되었다. 묘기를 부리며 자전거를 타고, 어깨 위에 놓은 장대 위에 올라가 소년이 물구나무를 서고...그러나 그때 나는 보았다. 무대에서 공연을 하고 있는 여자 곡예사가 입고 있는 의상, 그 타이즈가 구멍을 기운 낡은 것이 아닌가. 그리고 무엇보다도 곡예사들에게 표정이 없었다. 마치 가면을 쓴 사람들처럼, 그들은 무대에 나와 자신의 곡예를 펼쳐 보이고는 슬픔도 분노도 기쁨도 없는 그 무표정으로 무대 뒤로 사라졌다.
저 표정이 없는 곡예사들의 삶은 무엇인가. 무대 뒤에서 저들은 무엇에 흐느끼고 무엇을 안타까워하며 무엇으로 기뻐하며 그리고 어디로 다시 떠나는 것일까.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듯 나는 곡예사들의 낡은 타이즈와 무표정...그것에 끌려들어 갔던 것이다.
곡예단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을 하면 20여일쯤 공연을 했다. 지금은 자취도 찾을 수 없는 성남 입구, 그때는 모란이라고들 불렀다. 내가 처음 찾아갔던 <고려 곡예단>은 거기에서 공연을 하고 있었다. 그것이 첫 만남이었다.
『화신을 따라 봄이면 낙동강 줄기가 시작되는 영을 넘어 북쪽으로 올라왔다가 늦 은 가을이면 지리산 남쪽으로 내려가는 여로는, 철새의 생리를 닮은 써어커스의 가 장 긴 이동이었다. 물론 서해 쪽에서 태백산맥을 넘어 동해바다로 가는 이동이 없 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소설<부초>에서.
매일 써어커스를 찾아갔다. 보고 또 본 공연이었지만 다음 날이면 다시 천막 안으로 찾아 들어가서는 가만히 앉아 있다가 나오곤 했다. 무슨 인터뷰 따위를 한 것이 아니었다. 그들과 함께 있으면서 그들을 느끼고 싶었다. 그들의 숨소리에서부터 체온과 솜털까지를...그렇게 날이 지나자 어느 날 곡예사가 한 사람이 천막 한 구석에 앉아 있는 나를 찾아왔다. 매일 오시는데, 무슨 일이시냐고, 소주라도 한잔하지 않겠느냐고, 오늘은 늦었는데 여관에서 함께 자고 가라고...
그렇게 3년이 지나갔다. 그리고 그것이 <부초(浮草)>라는 장편소설이 되었다.

참 많은 곡예사들을 만났었다. 그렇게 만나 이름은 잊었지만 아직도 내 기억의 갈피에 숨어 있는 사람들은 얼마인가.
춘천으로 가는 길목, 구리시의 한 허허벌판에서였다. 거기 천막을 치고 있는 D곡예단을 찾아갔다고 돌아가던 길이었다. 누군가가 나를 부르기에 돌아보니, 내가 주로 가깝게 지냈던 K곡예단에서 사회를 보던 남자였다. 반갑게 담배 한 대를 나누며 이야기를 하는데, 어쩐지 그의 안색이 어두웠다. 어디 아파요? 내가 물었다. 잠시 말이 없던 그가 혼잣말처럼 내뱉지 않는가. “나 지금 피 팔고 오는 길이에요.”
피를 팔다니. 곡예사가 피를 팔아 가며 생활을 하다니. 너무 놀란 나는 그와 함께 서울로 돌아왔고, 함께 밥을 먹자면서 갈비집으로 그를 데리고 들어갔다. 그는 식사를 하면서 내내 마치 비를 맞고 서 있는 사람처럼 땀을 흘렸고, 맛있게 고기를 먹었다.
식사를 마친 그가 지친 얼굴로 물었다. “써어커스에서만 쓰는 말들, 아세요? 그런 걸 알아야 글을 쓰잖아요.”
그렇게 해서 나는 그후 시간 나는 대로 곡예단에서 통용되는 은어를 그에게서 배웠다. 단장 부인을 말하는 ‘쪼가리’에서부터, 몰래 사귀는 애인은 ‘뽈레기’라고 하고, 여자랑 곡예단에서 도망쳐 나가는 것을 ‘발랐다’고 한다는 것까지. 우리는 무엇이 되어 어디로 가는가. 그리운 얼굴의 하나인데 나는 지금 그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지 모른다.
무슨 재주인지, 여자를 잘도 사귀던 그 사람. 한 공연지에서 여자를 사귀어 일주일쯤 지나면 여관방이든 사글세방이든 살림을 차렸다. 그런 곡예사도 있었다. 20여일 공연을 하고 다음 공연지로 떠나면, 어떤 여자는 따라오기도 하고 어떤 여자는 그냥 거기 남았다. 이불을 사고, 간단한 식기를 사고...그렇게 살다가 짧게는 헤어지고, 길게는 함께 여기저기를 떠돌고...그러나 해를 넘기도록 그의 옆에 남아 있는 여자는 없었다. 그 여자들은 어떻게 그렇게 한결같이 몸매 좋고 예쁘던지. 나는 그를 만날 때마다 그의 이 구름 위를 걷는 것 같은 삶이 기이하기만 했다.
주민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그러니까 이 세상에 살고 있지만 이 세상 사람이 아닌 곡예사도 만났었다. 출생신고가 되어 있지 않아 호적이 없는 그는, 그런 몸인데도 곧잘 경범죄에 걸려 즉결재판에서 벌금형을 받고 나오곤 했다. 아직도 불가사의의 하나다.
공연장 객석이 지루할 때면 천막이나 무대 뒤에서 어린 소년 소녀 곡예사들을 만났었다. 그들은 팔을 잡으면 무쇠 같았고 손바닥은 바위처럼 굳어 있었다. 오랜 단련의 결과였다. 그때만 해도 내가 들고 다니던 담배 케이스만한 소형녹음기가 신기했던지 그들은 거기다 노래를 해서 틀어보면서 얼마나 깔깔댔던지.

나는 이런 이야기들을 수없이 많이 알고 있었지만, 그러나 소설에는 쓰지 않았다. 혹시 그들을 아프게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곡예사들이 얼마나 많이 사회로부터 부당하고 곡해된 시선 때문에 상처받고 살아가는지를 나는 그때 알고 있었다. 아름답고 서글프고 진정한 것들이 곡예사들에게는 얼마나 많았던가. 나는 그것들을 도려내어 상징화해서 내 소설 속에 깎아 넣고 싶었다.
무엇보다도 내가 만난 써어커스의 사람들, 곡예사들은 다들 착했다. 그래서인지 남다른 재주(곡예)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재주로 약삭빠르게 돈을 벌 줄을 몰랐다. 있으면 있는 대로 쓰고 살고, 없으면 없는 대로 참고 살았다. 맺힌데가 없고, 거칠 것이 없었다. 다들 자유인이었다, 그리운 사람들.
내가 만났던 곡예사들의 이야기는 써어커스를 이루는 한 집단사회의 아주 작은 일부분일지 모른다. 다만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자리가 할 수 있는 한 더 넓기를 나는 바랐었다.
악사나 총무(공연에서 이동 그리고 공동생활까지 모든 것을 총괄하며 일을 꾸려나가는 써어커스의 실무 책임자를 그때 그렇게 불렀다)와 함께 여관에서 밤을 보내기도 했다. 언제였던가. 한여름이었다. 우리는 더위를 견디느라 맥주를 사 가지고 여관 옥상으로 올라갔다. 슬라브를 친 옥상은, 바람은 시원했지만 한낮의 열기가 그냥 남아 있는 시멘트 바닥은 온돌처럼 따끈따끈했다.
모기는 또 왜 그렇게 극성이었던지. 맥주를 마시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며 앉아 있는 우리들 사이에서 이따금 철썩철썩 하는 소리가 들렸다. 달려드는 모기를 잡느라 장딴지며 목을 손바닥으로 내려치는 소리였다. 그때 그 밤에, 모기에게 종아리를 벌겋게 뜯겨가면서 나는 어떤 난쟁이 곡예사의 이야기를 들었다. 이제는 세상을 떠난 한없이 아름답고 부드러웠던 한 사나이의 이야기였다. 몸은 작았지만 그 누구보다도 드넓은 가슴을 가졌던 그는 단원들 사이에서 여전히 전설적인 인물로 남아 있었다. 오직 소금을 안주로 깡소주를 마셨다는 그는 말년에 몸을 버려 카스테라를 엄지 손톱 크기로 뭉쳐서 먹어야 겨우 소화를 해낼 지경이 되었으면서도 소주병을 놓지 못했다고 했다. 서울역 대합실에서 마지막으로 고향에 내려가는 그를 배웅하던 이야기를 하면서 목소리가 떨리던 총무는 끝내 눈 밑을 훔치고 있었다. 그때 길 건너 나이트클럽에서 번쩍이던 불빛을 나는 아직도 기억한다.
장애도 불구도 아니면서 다만 몸이 작다는 천형을 안고 살다가 간 그의 내부를 가로질러 건너간 고통의 켜는 얼마였을까. 그를 위한 진혼곡으로 <부초>에서 칠룡이를 만들어냈을 때 나는 조금은 마음의 덫을 벗는 느낌이었다. 그리고 만나본 적도 없는 그에게 감사했다.
“학교에서는 밴드부에서 트럼본을 불었는데...그냥 이렇게 떠도는 게 좋아서 쫒아들어왔는데, 그래도 뭐 후회는 없어요” 하던 장대 곡예사. 그는 어깨에 10여 미터는 되는 장대를 세우고 그 위에 소년을 올려놓고 재주를 부리는 곡예를 했다. 물론 그것 말고도 여러 가지 재주가 있었지만. 그는 내 취재에 참 많은 도움을 주었던 곡예사였다. 그는 내 소설 속에서 곡예를 하는 대신 뒷일을 보아주는 후견 덕보가 되었다. 써어커스를 찾은 나에게 제일 먼저 말을 걸어준 것도 그였다.
오류동이라는 곳이 있다. 어쩌다 길거리에서 그 표지판을 보면 나는 갑자기 마음이 서늘해지면서 “석이 엄마”하고 되뇌어 본다. 오류동이라는 곳을 물어 물어 찾아갔었다. 흙바람 부는 2월이었다. 단체가 공연을 한다기에 찾아갔는데 빈터에는 바람 뿐, 단체는 떠나고 없었다. 그들이 천막을 쳤던 말뚝자리만이 아직도 남아 있었다.
어쩐지 택시를 탈 마음이 아니어서, 나는 역까지 천천히 걸었다. 하오의 플랫폼은 텅 비어 있었다. 말 그대로 쓸쓸했다. 사랑했던 여자 곡예사를 못 잊어서 찾아오곤 하는 남자. 어느 날 그녀를 만나러 갔지만 천막은 헐리고 바람뿐이다. 플랫폼에 서서 떨어져 가는 저녁 해를 바라보면서 그 생각을 했고, 그날 나를 감싸고 있던 적요함은 어느 날 내 안에서 <부초>속의 석이엄마가 되어 주었다. <부초>에서 내가 가장 사랑하는 여주인공.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떠나보낸 아들을 위해 털실을 짜며 새벽에 목욕을 다녀오곤 하는 부분을 쓰고 났을 때 나는 어쩐지 그녀를 사랑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윤재의 눈앞을 소리 없이 지난날 그들의 얼굴이 흘러간다. 무슨 소리, 강아지도 돈 있으면 멍사장인 세상인듸, 모두가 아자씨 마음 같은 줄 아십니까 하던 임씨. 아저씨요, 무는 호랑이는 뿔이 없는 법이랍니다. 제 두 다리가 짧으니까 하느님이 가운데 다리 하나는 큼지막하게 맹글어 주셨다 그말입니다, 하며 웃던 칠룡이... 그놈이 난쟁이치고는 심성이 곱더니.』-소설<부초>에서.

사회적 멸시와 편견, 회복할 길 없는 오해와 왜곡 속에서도 곡예사들은 자신의 삶을 믿으며 천막인생을 지켜냈으리라. 요즈음에는 없어졌지만 연례행사처럼 터지곤 하던 써어커스에서의 아동학대, 임금착취같은 것은 거의가 편견과 왜곡이 불러온 경우가 많았음을 나는 안다.
그러다 보니 곡예단은 점점 더 사회와 유리되고, 소외를 견디어 가면서도 그들은 언론의 취재를 한사코 거부하는 특수집단이 되어 가기도 했다. 곡예단의 비리라면서 사회면을 뒤덮던 사건들을 볼 때마다 나는 ‘이게 아닌데, 왜 이렇게 일방적인 보도를 하나...’ 안타까웠다.
내가 취재를 할 그때 한국에는 13개의 곡예단이 있었다. 신당동 시장 옆에는 그들의 권익을 옹호하던 곡예협회를 직원 2명이 지키고 있었다. 그곳을 드나들며, 지금 어느 단체는 어디에서 공연을 하고 있구나...소식을 들었었다.
언젠가 서소문에서 방송국 사람들과 함께 식당엘 들어갔을 때였다. 식당 여주인이 무슨 말을 하다가 “내가 단체에도 있어 봤지만...”하는 말을 했다. 내가 화들짝 놀라며, “혹시 곡예단에 있으셨어요?”하고 물었다. 나보다 주인여자가 더 놀랐다. 어떻게 아느냐고.
써어커스 사람들은 곡예단을 ‘단체’라고 말한다. 그리고 곡예단을 떠날 때 ‘사회’로 돌아간다고 한다. 그들도 단체도 다 사회 속의 한 부분인데, 그들은 자신들을 ‘사회로 나간다’고 스스로 유리시켜서 말하고 있었던 것이다. 늘 가슴 아팠던 부분이다.

『 써어커스가 이 땅에 처음 말뚝을 박은 것은 1911년 5월 1일, 일본의 <고사쿠라>곡예단이 부산에서 공연을 가지면서였다. 이때까지 흥행의 대종을 이루던 사당패는 개화의 물결에 밀려 이미 그 자리를 잃어가고 있었다....구경거리의 불모지에 뛰어들기 시작한 일본인들이 통감정치와 더불어 대규모의 흥행집단을 끌고 발을 들여놓게 도면서 ...십여개의 단체가 한반도와 만주까지를 오르내리며 그 펄럭이는 천막을 올렸다.
“그랬지. 아니타니 기노시타니 하는 곡마단이 서울에 올 때면 얼마나 화려했는가. 파고다 공원 옆은 단골 장소였지. 규모도 대단했고. 만주공연을 가면 또 어땠나. 남부여대해서 이불 보따리에 바가지 하나 올려놓고 고국산천을 떠난 사람들이 공연 끝나면 찾아와 눈물을 흘리며 고향소식을 묻지 않던가.”』 -소설<부초>에서.
그러나 곡예단의 몰락은 예정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유랑극단과의 싸움도 치열했다. 그러나 영화의 출현은 치명적이었다. 그리고 이어진 TV시대는 곡예단의 목을 조였다. 시대와 함께 대중의 오락도 기호도 변했다.

『 늙은 창부처럼 몰락해 버린 써어커스...천막을 싣고 고속도로를 달리고, 어디엘 가도 전기불 밑에서 공연을 할 수 있게 세상은 변해 갔지만, 가설무대는 공연장소를 구하기 마저 어려워져 변두리의 벽돌공장 부근이나 김장시장이 열리는 시장 옆 공터에서 막을 올리며 천막무대는 늙은 창부처럼 몰락해 갔다. 화장을 해도 주름살을 가리기에는 너무 늙어버린 창부의 얼굴처럼, 세월은 곡예단의 얼굴을 밟고 지나갔던 것이다. 』-소설<부초>에서.
내가 처음 찾아갔을 때 <동춘곡예단>에는 천막 출입구 옆에 코끼리가 있었다. 어느 정도 사실인지는 모르겠지만, 홍콩의 써어커스가 한국 공연을 하기 위해 인천항에 들어왔다가 마약밀수 혐의로 짐도 풀지 못하고 도망가면서, 그 짐과 함께 남게 된 동물들 가운데 하나라고 했다. 이 코끼리는 내가 찾아갈 때마다 조금씩 늙어갔는데, 피부에 염증도 걸리고 몸도 왜소해지고 하더니, 또 몇 년 후에 가 보니, 살아서 언제나 입장객을 맞던 코끼리는 죽고 없고, 그 박제가 덜렁 천막 옆에 매달려서 나를 맞았다. 그 모습을 바라보자니 참 허망했다. 그 후로 그 코끼리 박제는 먼지가 앉고 때가 끼는가 하더니 꼬리도 한쪽 다리도 떨어져 나가는 수모를 당하면서...눈보라와 비바람을 맞고 있었다. 한국의 곡예역사, 그 흥망과 성쇠를 말없이 보여주고 간 코끼리였다. 영화 부초에서 윤재가 죽자 서글피 우는 모습으로 등장하는 코끼리가 바로 그였다.
소설 <부초>에서, 피에로 마술사 윤재가 평생을 함께 떠돌던 천막에서 세상을 떠나자, 공중곡예사인 주인공 하명은 밤 깊은 강가에 나가 눈물을 훔치며 비로소 자신의 삶이, 곡예사의 삶이 무엇인가를 몸으로 깨닫는다.
『흙바닥에 앉았다가 막이 내리면 옷을 털고 나가 버리면 그뿐인 손님들처럼 너는 내 가슴에 왔다가 털고 떠나가면 그만이란 말이냐. 천막 치고 무대 짓고 재주 피며 사는 게 우리들만은 아니란 걸 이제 나는 안다. 저 하늘이 천막이고 이 바닥이 무대지. 저마다 목숨껏 재주 한번 피우고 떠나가는 그게 이승에서 저승으로 가는 길이었던 거야. 』소설<부초>에서.

그러나 내가 취재 중이던 그 순간 순간에도 한국의 써어커스는 하루하루 쇠락의 발걸음을 내딛고 있었다. 소설이 완성되고 3년 후, 영화를 찍기 위해 다시 써어커스를 찾았을 때, 한국에는 트라피츠(공중 그네 타기)를 할 수 있는 곡예사가 없었다. 몰락의 길은 그렇게 빨랐다. 공중 그네 곡예사는 생활의 어려움을 견디다 못 해, 타일 붙이는 기능공이 되어 중동으로 돈을 벌러나갔다는 것이었다. 또 누구는 어디로 흘러갔다고 했다.
그렇게 해서 하나씩 줄어들기 시작한 곡예단은 마침내 3개로 2개로...그나마 <동춘곡예단>이 명맥을 이어가는 지경에 이르렀었다. 94년인가, 대구 근교의 공연장으로 <동춘>을 찾아갔을 때는 80여명으로 이루어졌던 단체의 규모도 상상할 수 없이 달라져 있었다. 우선 악사가 없었다. 음악은 테이프를 틀어서 대신했고, 단장이 사회도 보고 노래도 불렀다. 그러나 그런 쇠락의 와중에도 희망의 싹은 있었다. 인건비 때문에 곡예사의 수를 줄이다 보니, 한 사람이 몇 사람이 해야 할 여러 가지 기술을 익히고 있었고, 곡예의 질도 나아져 있지 않은가.
<동춘>은 그렇게 한국 써어커스의 살아 있는 역사가 되었다.
이제 써어커스가 그 오랜 유랑을 끝내고 상설공연장을 가진다고 한다. 그 소식을 들으며 문득 떠오르는 말이 있다.
『“그래도...우리야 직접 몸으로 하는 거 아닙니까. 그까짓 텔레비 기껏해야 사진이죠. 그림자지 별겁니까. 진짜배기로 따지자면 우리가 윗길이죠. 암요. 세상에 자꾸 진짜가 없어지니까...언젠가는 도리어 우리가 빛 볼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소설<부초>에서.
그렇다. 어쩌면 오진령씨의 오랜 각고 끝에 사진을 통해 또 다른 얼굴로 태어나는 <동춘>의 모습은 그렇게 곡예의 진실을 믿었던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찬가인지도 모른다.

----------
Acrobats I met, and
Han Su-san(writer / professor, Sejong University)

You can easily find a song titled ‘The floating weeds’ in karaoke songbooks. Someone asked me to sing that song, saying “since you are the writer of , you should sing this song!”, though I do not even know when the song was released. I just know a song about acrobats called ‘The first love of an acrobat’. As a novel < The floating weeds>(1977) became popular, this song also happened to be a hit. In movies, TV series, radio dramas, books, and finally popular songs… stories of acrobats returned to us. It was not a dream. A circus troupe, it was the reality composed of flesh and blood. Anyone has his/her own way of life. All of us live through the way. Among us, acrobats seem to have too much of something that none of us has. These acrobats are floating over tiny and light matters like sprouts in spring. They undergo pain, tears, separation, get-together, sadness and smiles again. But they all have dreams. And then, they leave their home and leave again. Leaving means returning and meeting is farewell. Meeting and farewell for acrobats are “hello or bye-bye” for us.
All of us have childhood memories of having been enticed to see circus performance at the unoccupied lot of town. However, those circuses gradually disappeared as time went by.
Then, when I was in college, I accidentally encountered a poster made with low quality print on a wall in town. It was a poster for circus. Wondering circus was still existing, I went to see a circus in my town. It was there. It still held its original shape. I could witness the same scenes from a classic movie about circus - in which the actor Kim Seung-ho was – and could hear the same trumpet sounds of circus musicians that I had seen and heard when I was much young. However, I did not realize that accidental viewing would become an important incident which changed a part of my life.
Inside the circus tent, a circus performance, which was not much different from what I remembered, started. Riding a bicycle, juggling, rope dancing . . . But I saw something else. I noticed that the old and worn-out outfit of a female acrobat and unfeeling faces of acrobats. Like wearing masks, they were doing acrobatic performances without any facial expressions, as if they did not feel any sorrow, anger or joy.
How they lived with those insensitive faces. What they cried for, what they were longing and happy for, and then, where they would go after. Like entering into black holes, I was drawn to the worn-out outfit and insensible faces.
That circus troupe performed around 20 days when they built up their tent in one place. I met at Sungnam – at that time it was called Moran. It was the first meeting with them.

In every late autumn, I went to see circus performances every night. I saw them again and again, but I always got inside the tent, sat quietly and returned home when the performance was over. I did not try to interview them. I just wanted to be with them and feel them. I wanted to feel their breathing, temperature, and even their body hair. . . Several days later, one acrobat came to see me while I was seating in the corner of tent. Asking me about the reason to come to circus everyday, he offered me a drink and invited me to sleep over their lodgings since it was too late to go home. . .

Like that, three years passed. And those years turned out as a novel .
I met numerous acrobats. Though I do not remember their names, there are so many of them who still exist in my memory.
It was at an unoccupied lot of Guri, the bend of a road to Chuncheon. I was on the way to look for the D circus. A guy called my name, and that was the presenter of K circus which I knew well. While we smoked and talked together, I noticed his complexion was quite dark. I asked him if he was sick somewhere. He did not say anything for a while, and then, bluntly started talking. “I just came back from selling my blood.”
Selling blood! An acrobat was making his living by selling blood. Enormously shocked by that, I returned to Seoul with him and took him to a restaurant. He enjoyed his meal so much and he was sweating like a man in the pouring rain. After his meal, he asked me a question with his exhausted face. “Do you know the circus language? You must know them to write a novel.” That is how I learned about slang words only used among circus people. ‘Jogari’ means the wife of a leader of the troupe, ‘polegi’ means secret lover, ‘balatta’ refers to run away from the troupe with a woman and etc. I miss his face but I do not know where he is and what he does now.
That guy was really gifted in seducing women. Whenever he started to go out with a girl, only a week later, he began to live with her. I also knew him. After 20 day of circus performances, when he had to leave the town, some woman wanted to leave with him and the other woman just stayed there alone. To live with women, he bought bed sheets, tableware… He lived with women and then sometimes broke up with them or sometimes lived with them for a while more. However, there were no women who lived with him over a year. All the women he dated got great bodies and pretty faces. I could not help wondering how he seduced them and how he could keep that kind of relationship constantly.
I also met an acrobat who did have any identification record to prove his identity legally as a living person in this world. Even though his name was not put on record in this country, he was often arrested for minor offenses and released with monetary penalty. I still do not understand how he could do that.
Whenever I got bored with seating among audience, I went to backstage of circus and talked with young acrobats who were in their teens. When I held their arms or hands, I felt like touching iron-made stick or solid stone. Their rough arms and hands were resulted from the long and intense trainings. By the time I met them, they were so curious about my small portable recorder and enjoyed recording their singing and listening to their voices.

I knew numerous stories like those, but I did not describe them in my book. Because I thought those stories might hurt those circus people’s feelings. I realized that they were incessantly suffering from many unreasonable and distorted perspectives on them from the society. I was touched by many beautiful, sad and true aspects of life from their stories. I, rather, wanted to pick up the truth and inscribe in my book by symbolizing them in my way.
More than anything else, I think all the circus people and the acrobats whom I met were very kind. That is why they did not know how to make money, though they all have terrific talents. They spent all the money when they got money, and they also knew how to be patient when they did not have any. They were tough enough not to worry about the future. All of them were free men. I do miss them now.
Maybe these stories of acrobats who I met are only a small part of the circus world. I just wish their space would be bigger in the world that they live in.
I sometimes stayed up late with musicians or manager – who was in charge of everything including performance, moving and living as a group. I do not recall when it was exactly. But I guess it was in the middle of summer. We went up to the rooftop of the hotel with bottles of beer in our hands to tolerate the heat of summer. On the rooftop, the wind was cool but the cement floor was still warm while containing the heat from midday. And there were so many mosquitoes. From time to time while we were talking, I could hear slapping sounds to catch mosquitoes. On that night with beers and mosquitoes, I heard a story of a midget acrobat. It was a story of an enormously kind and beautiful man who was no longer alive then. Although he got a small body, he had a bigger heart than anyone else. He was still remaining as a legend in the circus troupe. When his body got so weak and could not eat almost anything due to the years of heavy drinking, he could not give up drinking. When the manager was talking about the last time to see him at Seoul railroad station, I could see the tear drops in his eyes and hear his quivering voices. With that sad story, I clearly remember the shining lights of neon sign outside a nightclub on that night. Just because he got a small body, he suffered tremendous ordeals of life. How I could truly understand his pains. With creating a character Chil-yong-yi in , I felt like alleviating some sympathetic feeling in my mind a bit. And I thanked him whom I have never met before.
“I played trombone in a school band. . . I’m in circus just because I like moving around… I don’t have any regrets,” an acrobat told me. He held a 10 meter pole and a boy on his shoulder and exhibited his acrobatic performances. He also had many other talents. Most of all, he provided me a great help to interview other acrobats. Later, he reappeared as Duk-bo who supported the main character in my book. It was him who came to me and talked for the first time at the circus.
There is a place called Oryu-dong. When I find a signboard written Oryu-dong, I always speak out “Suk-yi umma” quietly. I asked several people where Oryu-dong was and finally I arrived there. I went there in windy February. I heard that a circus troupe was performing there, but they already left by the time I got there. However, the traces of posts for tent are still found there.
I did not feel like taking a cab, I walked slowly to the metro station. The platform in the afternoon was empty. It was so desolate. There was a man who often came to the place because he was unable to forget his lost love, the female acrobat. One day, he went to meet her, but what greeted him was only the wind over the traces of circus tent. Looking at the sunset at the platform, I thought about the man’s loneliness, and the solitude I felt created Suk-yi umma in later. She is the heroine who I love most in my book. In the last part of the book, I wrote about her daily routine of knitting for her lost son and going to public bathhouse every morning. I felt like I could love her if she was around me.

Many faces of the past are quietly passing by Yoon-jae. What the heck. A dog can be a boss if he had money in this world. Mr. Lim said. No one feels like you. You know that? Hey Mr., a scary tiger doesn’t have a horn. Because my two legs are short, God made my other one leg big. Chil-yong-yi laughs. He is so kind for a midget. (from )


Despite the contempt, prejudice, misunderstanding and perversion of the society toward them, acrobats believed in their lives and survived inside their tent. I want to speak out that what people heard about the child abuse and wage extortion in the circus was mostly stemmed from prejudice or perversion. Thus, the circus was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turned into a special group which refused the publicity while enduring all the segregation from everything. Whenever I read the news report covering the absurdity of circus troupe in newspapers, I got tantalized since I knew that what report wrote was not true.
When I collected news materials about circus, there were 13 circus troupes in Korea. And next to Sin-dang market, there were two people to operate the circus association. I visited them often and I could get the information about which circus troupe was performing where. It was when I went into a restaurant at Soe-so-mun with several staff members of a broadcasting company. While the woman who ran the restaurant talking, I heard “I was in the troupe before…” With surprise, I asked “you were in a circus troupe?” Then, she was more surprised than I. She asked me how I knew about that. Among circus people, they call a circus troupe as ‘troupe’. And when they leave the circus troupe, they say they are going back to ‘society’. They are also a part of society, but they were isolating themselves by saying ‘go back to society’. I always felt aching about this.

Circus started in Korea when the Japanese circus troupe performed at Pusan in May 1st, 1911. By that time, the most popular entertainment event ‘Sadanpae’ in Korea began to lose its audience due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 . Along with the colonial policy, Japanese imported large scale entertainment business into Korea . . . dozens of circus troupes moved around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and entertained Koreans.
“That’s right. It was amazing when circus troupe like Anita or Kinoshita performed in Seoul. They were often performing next to Pagoda Park. It was huge. Also the Manchuria shows were great. Koreans there who left their hometown asked the circus people about news from their hometowns.” (from )

But the downfall of circus was destined to happen. And the competition with roaming theaters was inevitable as well. Of course, the emergence of movie was fatal. Moreover, TV choked the life of circus. Likewise, the public tastes changed as time went by.

The buckled circus is like a jaded whore. . . Now they are driving through highways with their tents and able to have shows under electric light wherever they are, but it is really hard to get a performing spot. So, they just can build up their tent only at unoccupied lots next to markets at outskirts of town. Like a wrinkled face of a jaded whore which even can not be covered with make-ups, the time stepped on the fate of circus troupes. (from )

When the first time I visited circus, there was an elephant next to the entrance gate. What I heard was that the elephant was one of animals which were left after a Hong Kong circus fled away as soon as they entered into Incheon port to perform in Korea because of carrying drugs. While getting old gradually, that elephant got dermatitis and became smaller and smaller. And several years later when I visited them, only the stuffed specimen of the elephant greeted me at the gate. Seeing its specimen was so prostrated. Later, the specimen was suffering from dust, snow, wind and rain and even its tail and one leg fell off. It was the elephant that exhibited the history of Korean circus, the rise and fall and prosperity and decline of Korean circus. In the movie , it appeared as an elephant who cried over the death of Yoon-jae. In the book , when the clown Yoon-jae died inside the tent where he lived all his life, the tumbler Ha-myung cried at the riverside in the midnight and truly realized what the life of an acrobat was.

Like the audience who seat on the floor and leave when the show is over, you come into my heart and leave. I know we are not the only ones who set up tents, build up stages and do own feats. That sky is the tent and this floor is the stage. Everyone performs his own stunt and leave, and it is the way from this present life to the world of the dead. (from )

Even at the moment when I was reporting, nevertheless, Korean circus was stepping down to collapse day by day. When I visited circus three years later to make a movie, there was no acrobat who could do trapeze in Korea. The speed of downfall was that fast. One of the last trapeze acrobats could not stand his hardship of life and went to Middle East to work as a tile-setter. And the other acrobat went to somewhere as well. Such downfalls of circus left only two or three circus troupes behind. . . Only circus was keeping the circus tradition. Around 1994, when I visited at outskirt of Daegue, I was surprised the constitution and small size of the troupe comprised of 80 members. First of all, there was no musician. Instead, they played recorded tapes and the director did other roles such as the presenter and the singer. In the downfalls, however, there was a hope for the future. For financial reasons, they reduced the number of acrobats. Because of the reduction, acrobats were required to do many stunts and skills, therefore, the quality of their performances were better than before. Like that, became the living history of Korean circus. Now, they stop moving around and are about to build up their own theater. This reminds me of a certain phrase in my book.

No matter what… we do with our bodies. TV is just some photographs. It is only made of shadows. We are the real thing. That is right. Now it is hard to find the real thing. . . Maybe someday, there will be a time for us to be recognized by the world. (from )

That is right. Maybe, the new face of which is reborn through Oh Jin-kyung’s photographs is a chant of the people who have believed the truth of circus for a long time.